이제 막 날이 밝아오는 새벽에 깊은 산속 계곡을 홀로 걸어 올라 간다. 점점 사람들의 인기척도 사라지고 가끔 보이던 사람들의 흔적 마저도 완전히 사라져 갈때 쯤 작은 두려움을 마주한다.  커다란 공간 속에 홀로 서 있는 나를 발견한다. 숲 속에서는 내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너무 작아 몸을 굽혀 유심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잘 발견 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은 마법과도 같은 초능력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숲속의 요정은 상상이 아닌 실제로 존재 한다. 단, 숲 속의 동화는 평화롭지 않다. 먹고 먹히는 수겁의 먹이사슬 속에서 생존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 그 속에서 살아남은 생명들은 숲속의 요정처럼 반짝이는 순간이 있다.  맑고 찬 공기를 마시고 차가운 계곡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내 안을 향하던 모든 감각은 이제 모두 밖을 향하고 있다. 저 앞에 있는 어두운 나무 그림자에 신경이 쓰이고 발 밑을 빠르게 지나가는 바위틈에도 신경이 쓰인다. 내 눈과 귀는 더욱 민감해지고 작은 움직임과 소리에도 신경이 간다.  모든 생명은 자신만의 길이 있다. 같은 길은 없다. 다른이가 걷고 있는 길이 내가 걸었던 길이라고 착각하고 집착하는 사람을 우리는 흔히 "꼰대"라고 한다. 다른이에 대한 존중이 빠진 자신의 권위를 위해 도구 삼으려는 행위. 이 또한 나만의 길 위에 놓여진 장애물이라면 과감히 뛰어넘자.  길, 우리는 항상 길 위에 있다. -2022.7.17 Shin Ho Chul   총칭 찐따오씨아(金刀峡)

꽝!

한 마리도 못 잡은 날

오랜만에 하루 통째로 여유가 생겨 새벽에 출발한다. 낚시꾼에게는 일주일의 기다림이 일 년같이 길게 느껴질 때가 자주 있다.

오늘은 계곡 하류부터 상류까지의 산천어 분포 확인이 목표이다. 하루가 있으니 아침을 먹고 아버지와 느긋하게 따끈한 커피 한잔하고서 차가운 계곡물에 들어선다. 밤새 설렌 기대감이 현실이 되는 순간.

계곡 하류에는 갈겨니가 주종을 이루고 산천어는 간혹 보이는데 오히려 산천어가 보이는 게 이상할 정도이다. 생각지도 못한 높은 인공 폭포를 만났는데 그 아래의 소에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모여있는 20~30센티미터 정도 되어 보이는 산천어 4마리를 보았다. 이 보기 불편한 인공 구조물은 왜 이곳에 있을까? 하류부터 상류까지 총 3개의 소에서 이렇게 20센티미터 이상 되는 산천어들이 4마리 정도 모여 있는 것이 보였고 한 마리의 수컷에 3마리 정도의 암컷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측해 본다. 몇 주 전과 다른 점은 한 소에서도 정확히 자기 구역을 나누어 먹이 활동을 하던 산천어들이 가장 커 보이는 개체의 구역을 같이 공유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곳은 영서의 계곡이다. 본래 산천어가 없는 계곡이라 잡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나 보다. 내 개인적인 바램은 무척이나 어렵사리 이곳에 뿌리내렸을 산천어들. 그리고 나서도 애처로울 정도로 겨우겨우 유지되고 있는 이곳의 산천어가 좀 더 오랫동안 이곳에 남아 있었으면 좋겠다. 주변에서 쉽게 만나 볼 수 없는 산천어, 그 경이로울 정도로 신비하고 비밀스러운 생명들을 좀 더 오랫동안 이곳에서 보고 배울 수 있었으면 한다.

이날 손에 닿은 산천어는 단 한 마리도 없었다. 전문용어(?)로 “꽝” 이었다. 어쨌든 산천어 분포의 확인이라는 소기의 목표는 달성했으며 한동안은 이 계곡의 문을 두들이지 않을 생각이다.

지구의 생명체는 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이야기가 있어 앞으로 물고기의 산란 등 중요한 관찰을 한 날은 음력 날짜를 같이 기록하려 한다.

물고기와 관련된 연구를 하는 동물학의 한 분야로 어류학(Ichthyology)이 있다. 어류학은 물고기의 몸의 구조와 기관을 다루는 형태학(Morphology), 그 기능을 다루는 생리학(Physiology), 생활습관과 습성을 다루는 생태학(Ecology), 유전과 교잡에 대한 것을 다루는 유전학(Genetics), 분류와 계통에 관해 다루는 계통학(Phylogenetics) 등 여러 세분화된 분야가 있다. 그리스의 철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22)도 스승인 플라톤이 죽은 후 몇 년 동안(인간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여러 생물들을 상세하게 관찰 및 묘사 하는데 몰두 했으며 그의 저서(History of Animals와 Parts of Animals등)에는 115종의 물고기도 포함 된다고 한다. 그 외에도 60종의 곤충을 포함하여 500종이 넘는 동물을 분류하고 관찰하였는데 18세기에 린네가 분류학을 체계화할 때까지 2000년 동안 그의 분류법이 사용 되었다고 한다.사실 린네의 분류학에 사용된 종(Species)과 속(Genus)이라는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 사용한 것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이며 종(Species)은 뜻까지 같다고 한다. 하여 그는 또한 동물비교해부학의 창시자로 불린다. 진화론(자연선택설)으로 유명한 다윈은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아리스토텔레스를 꼽았다. 누구보다 관찰을 좋아하던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수 많은 명언 중에 이런 말이 있다고 한다. “참고 견디는 게 아니라 자진해서 하는 것, 이것이 유쾌한 것의 본질이다. 음악은 듣기만 하고 스스로 노래하지 않으면 별로 재미가 없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은 음악은 귀로써가 아니라 목청으로 맛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름다운 그림도 그 즐거움은 제 손으로 색칠을 한다든가 수집을 하지 않으면 그다지 재미를 모른다. 때문에 인간의 행복은 그저 탐구하고 정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런 말도 남겼다 “모든 예술, 모든 교육은 단순히 자연의 부속물에 지나지 않는다".

내가 바라보는 플라이낚시꾼 역시 자연의 관찰에 빠져 지내는 사람들이다. 사람이기 때문에 같은 사물을 바라보면서도 얼마든지 틀린(혹은 다른) 결론과 다른 추측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모든 것을 정확하게 본 것은 아닌 것처럼. 결과야 어찌 되었던 그 과정은 유쾌해야 할 것이다. – 2014.9.21 Shin Ho Chul

Stream
계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