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날이 밝아오는 새벽에 깊은 산속 계곡을 홀로 걸어 올라 간다. 점점 사람들의 인기척도 사라지고 가끔 보이던 사람들의 흔적 마저도 완전히 사라져 갈때 쯤 작은 두려움을 마주한다.  커다란 공간 속에 홀로 서 있는 나를 발견한다. 숲 속에서는 내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너무 작아 몸을 굽혀 유심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잘 발견 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은 마법과도 같은 초능력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숲속의 요정은 상상이 아닌 실제로 존재 한다. 단, 숲 속의 동화는 평화롭지 않다. 먹고 먹히는 수겁의 먹이사슬 속에서 생존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 그 속에서 살아남은 생명들은 숲속의 요정처럼 반짝이는 순간이 있다.  맑고 찬 공기를 마시고 차가운 계곡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내 안을 향하던 모든 감각은 이제 모두 밖을 향하고 있다. 저 앞에 있는 어두운 나무 그림자에 신경이 쓰이고 발 밑을 빠르게 지나가는 바위틈에도 신경이 쓰인다. 내 눈과 귀는 더욱 민감해지고 작은 움직임과 소리에도 신경이 간다.  모든 생명은 자신만의 길이 있다. 같은 길은 없다. 다른이가 걷고 있는 길이 내가 걸었던 길이라고 착각하고 집착하는 사람을 우리는 흔히 "꼰대"라고 한다. 다른이에 대한 존중이 빠진 자신의 권위를 위해 도구 삼으려는 행위. 이 또한 나만의 길 위에 놓여진 장애물이라면 과감히 뛰어넘자.  길, 우리는 항상 길 위에 있다. -2022.7.17 Shin Ho Chul   총칭 찐따오씨아(金刀峡)

무지개송어와 견지낚시

세 번째 플라이피싱 실전. 오후 4시에 강에 들어섰다. 시간도 늦고 해서 장화는 신지 않고 출발. 자갈밭을 등지고 캐스팅을 하다 보니 아직 익숙하지 않은 캐스팅으로 뒤의 땅을 치면서 다량의 훅을 잃어버렸다. 피라미 한 마리를 드라이 훅으로 랜딩. 많은 수의 물고기가 보였지만 반응도 뜸하고 근본적으로 곤충 훅에 관심이 없는 것 같았다. 견지낚시로 무지개 송어를 낚아내는 사람들. 아마도 지난겨울 송어 축제에서 살아남은 개체들이 아닐까? 다음부터는 장화를 신고 계곡물을 등지고 캐스팅해야겠다.

견지낚시는 한국의 특유한 낚시 방법으로 실을 타고 전해져 오는 어신을 낚싯대로 느끼고서 챔질 하는데 눈으로 보고 챔질 하는 것이 아니라 낚싯대로(혹은 낚싯줄로) 전해지는 어신을 감지하고 챔질 한다는 점에서 플라이피싱의 체코 님핑 기법과 닮았다. 견지낚시는 아주 가느다란 견지대로 작은 피라미부터 커다란 잉어(심지어 연어)까지 잡아 내기 때문에 큰 물고기를 걸었을 때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인내심을 요구하는 대신에 손맛이 그만큼 더 신랄하다.

체코 님핑은 1970년대에 체코와 폴란드등 유럽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2개 이상의 플라이를 매단다. 2개의 플라이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가장 아래의 플라이(Point Fly)를 매우 무겁게 하고 3개의 플라이를 사용할 경우는 가운데 플라이를 무겁게 한다고 한다. 일반적인 장거리 케스팅보다는 기다란 로드를 이용해 플라이라인은 조금만 내놓고 바로 앞의 포인트에 던져 넣어 바닥권을 흘려(바닥에 닿지 않고 가깝게 흘려) 공략하는 기법이다.

알래스카에서 캘리포니아에 걸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무지개 송어(Oncorhynchus mykiss, rainbow trout)는 일생을 담수에서 사는(육봉형) 물고기로 플라이피싱을 위해 태어난 물고기라고 할 만큼 플라이피싱 대상 어종으로 적합하다고 한다. 좀 더 단단한 로드가 필요하기에 지금은 무지개 송어를 찾아 다니지 않지만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노려보고 싶은 물고기 이다. 외래어종인 무지개 송어는 한국에서 자연 번식은 못하는 듯 하고 대부분이 양식장이나 축제 후 강으로 흘러 들어간 개체가 살아남아 낚시에 잡히는 듯 하다. 우리나라에는 1965년에 알로 들여와 양식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야생에서 바다로 나갔다가 산란을 위해 돌아왔다 산란 후 다시 바다로 가는 무지개 송어(강해형)를 스틸헤드(Steal head)라고부른다. 원산지에서 4~6월에 번식하는 무지개 송어는 다른 연어과의 어종과 다르게 산란 후에도 살아 남아 몇 년에 걸쳐 번식에 참여 한다고 한다. 우리 나라는 12월 초에 일부 강에서 무지개송어의 산란이 관찰되기도 하는 듯 한데 무지개송어는 산란기에 다른 무지개송어의 알을 먹는 습성이 있어 이때는 에그(egg) 훅을 잘 문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산천어 보다 무지개송어 양식을 더욱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2년이라는 짧은 시간으로 수명이 제한되어 있는 산천어보다는 수명이 긴(양식 3~4년, 야생 7~8년) 무지개 송어의 관리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한국 토종 송어(산천어의 강해형)의 수명은 얼마나 될까?

예전 기사에서 무지개 송어의 남해(2009,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화도 앞 해상), 서해(2013, 홍성군 서부면 죽도리), 동해(2016, 강원도 고성 앞바다)의 바다양식 성공에 관한 뉴스를 보았다. 남해에서 가장 먼저 성공한 듯 하며 남해의 경우 11월부터 5월사이 7개월 간 월동기 가두리 양식장에서 양식하여 한여름 수온이 올라가기 전에 판매 한다고 한다. 무지개송어는 수온이 20도가 넘으면 살 수 없는데 동해에서는 여름에도 16도 이하인 바다 35미터 아래에서 양식 한다고 했다. 민물에서 부화시킨 200그램의 치어를 바닷물에 순치시킨 후 7개월 만에 2000그램까지 키워내는데 민물의 3배에 해당하는 성장 속도라고 한다. 그래 언젠가는 우리도 바다 양식장을 탈출하여 몇 년 동안 거대하게 자란 스틸헤드를 거는 전설을 남길 기회가 생길지도 모르겠다.

바다에서 사는 물고기는 바닷물의 농도가 체내의 농도보다 높아 피부를 통해 수분을 빼앗기기(삼투압 현상) 때문에 짙은 소변을 조금 배출해서 수분을 유지하고 민물에서 사는 물고기는 반대로 체내의 농도가 민물보다 높아 피부를 통해 수분이 몸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묽은 소변을 많이 배출하는 방식 등으로 몸속의 적정 수분을 유지한다고 한다. 치어 때 민물에서 바다로 나가면서 바닷물에 순치해야 하고 번식을 위해 바다에서 민물로 올 때 또다시 민물에 순치를 하며 살아남는 연어와 송어들은 이런 목숨을 건 노력을 통해 자신들만의 전설을 만들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 2014.4.13 Shin Ho Chul

Hongcheon-river
홍천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