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날이 밝아오는 새벽에 깊은 산속 계곡을 홀로 걸어 올라 간다. 점점 사람들의 인기척도 사라지고 가끔 보이던 사람들의 흔적 마저도 완전히 사라져 갈때 쯤 작은 두려움을 마주한다.  커다란 공간 속에 홀로 서 있는 나를 발견한다. 숲 속에서는 내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너무 작아 몸을 굽혀 유심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잘 발견 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은 마법과도 같은 초능력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숲속의 요정은 상상이 아닌 실제로 존재 한다. 단, 숲 속의 동화는 평화롭지 않다. 먹고 먹히는 수겁의 먹이사슬 속에서 생존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 그 속에서 살아남은 생명들은 숲속의 요정처럼 반짝이는 순간이 있다.  맑고 찬 공기를 마시고 차가운 계곡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내 안을 향하던 모든 감각은 이제 모두 밖을 향하고 있다. 저 앞에 있는 어두운 나무 그림자에 신경이 쓰이고 발 밑을 빠르게 지나가는 바위틈에도 신경이 쓰인다. 내 눈과 귀는 더욱 민감해지고 작은 움직임과 소리에도 신경이 간다.  모든 생명은 자신만의 길이 있다. 같은 길은 없다. 다른이가 걷고 있는 길이 내가 걸었던 길이라고 착각하고 집착하는 사람을 우리는 흔히 "꼰대"라고 한다. 다른이에 대한 존중이 빠진 자신의 권위를 위해 도구 삼으려는 행위. 이 또한 나만의 길 위에 놓여진 장애물이라면 과감히 뛰어넘자.  길, 우리는 항상 길 위에 있다. -2022.7.17 Shin Ho Chul   총칭 찐따오씨아(金刀峡)

열목어와 산천어

이곳 계곡은 내가 아는 한국의 계곡 중 보존이 가장 잘 되어 있는 계곡 중 한 곳이다. 예전에 산천어와 열목어를 같이 방류 하였다고 하는데 처음에는 산천어가 그리고 최근에는 열목어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곳이다. 이곳 어르신들은 크게 자라는 열목어를 더 좋아하시고 포악하게 생긴 산천어가 토종 물고기들을 다 잡아 먹는다고 싫어들 하신다. 산천어는 다 잡아 가라 하신다. 산천어가 더 좋은 나로서는 조금 억울하다. 먹성으로는 열목어도 만만찮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번 여행의 목적은 그 얼마 남지 않은 산천어들을 확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최 상류까지 한 마리의 산천어도 목격되지 않았다. 반면에 열목어들은 계곡 최 상류까지 치고 올라가서 자리 잡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마도 바닥과 포말 바로 밑에 붙어 다니기를 좋아하는 열목어에 비해 고요한 수면 가까이를 선호하는 산천어가 눈에 훨씬 잘 보여 사람들에게 쉬이 잡혀가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미 커질 대로 커진 열목어들에게 작은 산천어들은 몽땅 잡아 먹혔을 수도 있을 듯 하다. 그리고 수명으로만 보아도 산천어가 시간이 지날수록 불리 할 수 밖에 없다.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가 유사한 종들은 대부분 동일 장소에서 함께 서식하지 않고, 함께 서식하는 경우에도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활동 시간, 공간, 먹이등 자원을 적절히 분할하여 중간 경쟁을 피하기 위한 생태적인 분리현상을 보인다고 하는데 이런 현상은 아주 오랜 세월을 통해 이루어 지는 현상일 것이다. 오히려 같은 공간의 산천어 간에 곤충을 주로 먹는 개체와 작은 어류를 주로 잡아먹는 개체로 나뉘어 지는 것은 아닌지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어쩌면 산천어 치어 중 일부가 바닷물에 순치하여 바다로 나가 송어로 자라는 것도 이러한 이유가 아닐까?

산천어와 열목어 모두 기온 15도에 수온 10~15도, 용존산소량 13mg/L, pH 6.5 정도의 조건을 좋아 한다고 하며 그리고 30종 이상의 곤충(봄에는 날도래목이나 하루살이목을, 여름에는 메뚜기등의 육상곤충류, 가을에는 날도래목 위주로 먹으며 그 외에도 거미, 개미등)을 먹는다고 하는데 이는 경험을 통해 확인해 보아야겠지만 어떤 어종이 특정한 먹이를 선호하는지에 대해서 정확한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물 표면에 떨어지는 곤충의 종류와 수량 그리고 그 중 물고기가 섭취한 양을 정확히 비교해야만 하고 물 표면에 있기를 좋아하는 산천어와 바닥층을 선호하는 열목어의 위치로 인한 차이도 클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는 쉽지 않을 것 같다.

2박 3일을 이곳에 머무르며 계곡 여기 저기를 꼼꼼히 관찰하였다. 이렇게 잘 보존되어 있는 계곡도 작년과 올해가 다르게 예전의 면모를 잃어가고 있는 듯 하여 슬퍼질 뻔 했다.

열목어들은 상대적으로 하류 보다는 물이 찬 상류 쪽에 집중되어 있었다. 산란장으로 보이는 곳이 두 군데 정도 관찰 되었다. 넓고 수심이 50센티 정도로 수온이 낮지만 볕이 고르게 들고 여울이 부서지면서 빠르게 흘러 쉽게 눈에 띄지 않는 곳을 선호하는 듯 하다. 이미 산란을 마친 듯한 개체들은 홀쭉하게 변해 있었고 산란이 끝난 후에도 그 주변을 지키는 것 처처럼 보였다. 50센티미터가 훌쩍 넘어 보이는 녀석들이 도망가지 않고 일정 구역을 지키고 있는 모습은 놀라웠다.

추측컨데 한 계곡의 열목어가 모두 한 곳 혹은 최 상류로 모이는 것은 아닌 듯 하다. 봄이 되면 본능적으로 차가운 물이 흐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계곡 상류로 물살을 타고 오르다가 온도나 환경이 맞는 곳이 있으면 그곳에 모여서 산란을 하는 듯 하다.

반나절은 아직 산란하지 못한 열목어들을 위해 토목공사(?)를 하였다. 인공 소가 두 개 만들어져 있었는데 위의 소에는 주민들의 요청으로 어도를 만들어 놓고 아래의 2미티 정도 높이의 소에는 어도를 만들어 두지 않아 20마리가 넘는 커다란 열목어들이 이곳을 오르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었다. 한 뼘 남짓한 깊이의 물에서 1미터를 넘게 뛰어 오르는 녀석들을 놀라운 표정으로 한참을 지켜 보았다.

하지만 50센티미터가 훌쩍 넘어 보이는 녀석들도 결국은 이곳을 넘지 못하고 있었다. 이미 산란 시기를 놓쳐가고 있는 듯 조바심에 내가 바로 옆에 가서 서도 그다지 놀라는 기색이 없다. 아직 산란을 하지 못해서 그런지 놀라울 정도로 빵이 두툼해 보이는 녀석들은 손만 내밀면 잡힐 것 같았다.

그 모습이 가여워 한참을 지켜 보다가 낚싯대를 한쪽에 치워두고서 조금 어설퍼 보여도 나름대로 효과 만점의 어도(fish way)를 만들기 시작했다. 돌을 쌓아 점프하는 곳의 물 깊이를 두 배정도 늘려 주었고 물이 떨어지는 곳으로 수량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혹시 작은 녀석에게 힘들 수도 있을 듯 하여 계단식으로 작지만 쉬어 갈 수 있는 공간도 만들어 주었다. 한 시간 정도 투자하여 간단히 만든 어로였다. 다음날 가보니 한 마리도 남아 있지 않고 모두 이동하였다. -2015.4.26 Shin Ho Chul

Gish-way
어도(fish way) 버전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