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날이 밝아오는 새벽에 깊은 산속 계곡을 홀로 걸어 올라 간다. 점점 사람들의 인기척도 사라지고 가끔 보이던 사람들의 흔적 마저도 완전히 사라져 갈때 쯤 작은 두려움을 마주한다.  커다란 공간 속에 홀로 서 있는 나를 발견한다. 숲 속에서는 내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너무 작아 몸을 굽혀 유심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잘 발견 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은 마법과도 같은 초능력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숲속의 요정은 상상이 아닌 실제로 존재 한다. 단, 숲 속의 동화는 평화롭지 않다. 먹고 먹히는 수겁의 먹이사슬 속에서 생존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 그 속에서 살아남은 생명들은 숲속의 요정처럼 반짝이는 순간이 있다.  맑고 찬 공기를 마시고 차가운 계곡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내 안을 향하던 모든 감각은 이제 모두 밖을 향하고 있다. 저 앞에 있는 어두운 나무 그림자에 신경이 쓰이고 발 밑을 빠르게 지나가는 바위틈에도 신경이 쓰인다. 내 눈과 귀는 더욱 민감해지고 작은 움직임과 소리에도 신경이 간다.  모든 생명은 자신만의 길이 있다. 같은 길은 없다. 다른이가 걷고 있는 길이 내가 걸었던 길이라고 착각하고 집착하는 사람을 우리는 흔히 "꼰대"라고 한다. 다른이에 대한 존중이 빠진 자신의 권위를 위해 도구 삼으려는 행위. 이 또한 나만의 길 위에 놓여진 장애물이라면 과감히 뛰어넘자.  길, 우리는 항상 길 위에 있다. -2022.7.17 Shin Ho Chul   총칭 찐따오씨아(金刀峡)

대한민국 메뚜기의 종류

산천어들이 메뚜기 훅을 좋아해서 한국에 사는 메뚜기종류를 조사해 보았다. 생각보다 많은 종이 있었다. 어렸을 때는 메뚜기가 우리에게 무엇보다 재미있고 신기한 대상 이어서 풀밭으로(벼메뚜기) 산길로(두꺼비메뚜기) 개울가의 모래 사장으로(팥중이) 흥분해서 쫓아 다녔었던 기억이 났다. 커가면서 다른 생명에 대한 신비함과 호기심을 많이 잃었다는 생각이 든다. 대부분의 어른들은 커가면서 감수성을 잃는 듯 하다.  우리의 아이들에게 그러한 경험을 할 기회를 좀 더 많이 만들어 주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따뜻한 햇볕 아래서 진지하게 메뚜기를 쫓고 신비한 모습의 생명들을 놀라운 눈빛으로 바로 보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상상해 본다. 

풀무치(Locust Migratoria)45~70mm 크기암컷의 덩치가 수컷 보다 큼. 갈색 혹은 녹색. 10월에 산란하며산란 후 죽음팥중이(Locust infernalis)32~65mm 크기. 갈색형, 녹색형이 관찰 되는데 녹색형은 드물다고 한다산기슭이나 하천가에 있는 풀밭이나 자갈밭에서 발견된다. 앞가슴등판 위쪽에 X자 무늬가 있다. 콩중이(Gastrimargus marmoratus)35~65mm 크기. 팥중이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조금 더 못되게 생겼다. 짙은 녹색이 혹은 갈색형이 관찰된다. 주로 산지의 풀밭에서 공동묘지에서 가장 흔하다고 여러 곳에 표현되어 있다. 팥중이처럼 뒷날개에 검은 무늬가 있지만 노랑도, 검정도 더더욱 진하다. 특징은 앞가슴등판 위쪽이 볼록 솟아오른 것. 밑들이메뚜기(Anapodisma miramae)25~35mm 크기. 배 끝부분이 들려 올라가 있어서 밑들이메뚜기이다. 산지에서 나온다. 다 자라도 날개가 매우 짧고 성충과 약충 모두 날지 못하기 때문에 뛰어서 이동한다. 방아깨비(Acrida cinerea)40~80mm 크기. 녹색형과 갈색형이 있다. 암컷보다 훨씬 작은 수컷은 날개를 마찰시켜서 ‘따다닥’소리를 내며 날아다닌다. 어렸을 때 방아깨비를 잡아 뒷다리를 잡고 있으면 몸을 아래위로 움직여서 방아 찧는 것처럼 보였다. 벼메뚜기(Oxya chinensis)어렸을 때 잡아서 풀에 꿰어 다니며 후라이 팬에 기름을 두르고 튀겨 먹었던 기억이 있는 메뚜기이다. 21~36mm 정도의 크기이다. 적갈색형, 갈색형, 녹색형이 관찰된다. 수컷은 암컷보다 훨씬 작고 짝짓기를 위해 암컷의 등에 올라 탄다. 각시메뚜기(Patanga japonica)50~70mm 크기. 국내에서 모메뚜기류와 함께 어른벌레로 월동하는 몇 안 되는 메뚜기. 남방계 메뚜기라서 주로 영호남지방에 있다. 크기가 꽤 큰 중대형 메뚜기이다. 다른 메뚜기와는 달리 일생의 사이클이 180도 반전되어 있어서 늦여름에 부화하여 가을을 약충 시절로 나고 늦가을에 날개돋이를 하며 햇볕이 잘 드는 풀밭에 월동하다가 이듬해 봄에 산란한다. 월동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따뜻한 곳에 숨어있는 거에 가깝고 날이 따뜻하면 활동도 한다. 특징은 등의 노란 선과 눈 밑의 특징적인 무늬. 등검은메뚜기(Shirakiacris shirakii)27~50mm 크기. 공통적으로 가을철에 풀밭에서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콩잎을 좋아한다고 되어 있다. 암컷과 수컷이 비슷하게 생겨 구분이 힘들다. 약충은 날개가 없다.  좁쌀메뚜기(Xya japonica): 5~5.5mm 크기성충으로 겨울나기를 한다. 작은 메뚜기. 온통 검정이며 언뜻 보면 메뚜기라고 못 알아볼 만큼 작다. 뛰는 힘 엄청나게 세서 벼룩처럼 위험에 빠지면 순식간에 시야에서 사라진다. 성충으로 겨울을 난다고 하니 일부 지역에서는 겨울 플라이피싱용 훅으로 통할지도 모른다섬서구메뚜기(Atractomorpha lata)20~42mm 크기. 방아깨비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사실 메뚜기와는 과부터 다르다. 밭이나 농경지, 풀숲에서 가장 흔하다. 생김새가 방아깨비와 비슷해서 많은 사람들이 방아깨비와 혼동하지만 방아깨비보다 크기가 훨씬 작고 땅말막하다. 벼과 식물 말고도 메꽃과 식물, 특히 고구마 잎을 잘 뜯는다. 방아깨비처럼 암컷이 수컷보다 큰데, 이 때문에 교미할 때 마치 어미가 새끼를 업은 듯하다.  모메뚜기(Tetrix japonica)7~13mm 크기. 섬서구메뚜기와 마찬가지로 모메뚜기과가 따로 존재한다. 대부분 아주 조그만 해서 허리를 굽혀야 보인다. 가슴등판이 매우 발달해서 배를 덮는다. 산속에서 톡톡 튀어 다닌다. 뒷날개가 퇴화되어 못 날아다니는 것이 있고 날아다닐 수 있는 것이 있다.삽사리(Mongolotettix japonicus)24~35mm 크기. 초여름 양지바른 초원지대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메뚜기로, 수컷은 뒷다리를 앞날개에 비벼서 소리를 낸다. 수컷은 샛노랗고 암컷은 회색인데, 유독 암컷은 밑들이메뚜기처럼 날개가 짧다. 검정무릅삽사리(Podismopsis genicularibus)17~30mm 크기. 연한 갈색으로 위에서 보면 몸을 가로지는 굵은 무늬가 있고 양 옆으로 검은 색을 띈다. 두꺼비메뚜기(Trilophidia annulata)24~35mm 크기. 햇빛이 잘 드는 길가에서 자주 발견 된다. 길 색하고 비슷한 회색 빛을 띄고 있어 잘 보이지 않는다. 수염치레애메뚜기(Schmidtiacris schmidti)25~27mm 크기. 몸은 황갈색이고 날개가 매우 길며 수염처럼 긴 더듬이가 있다. 뒷다리 마디가 유난히 검게 보인다. 팔공산밑들이메뚜기(Anapodisma beybienkoi)18~27mm 크기. 녹색이고 날개가 없어서 날지 못한다고 한다. 한국 고유종이다. 색으로 추측할 수 있듯이 풀밭에 산다. 참북방밑들이메뚜기(Prumna mandshurica)24~30mm 크기. 노르스름한 색이고 검다. 딱따기(Gonista bicolor)24~30mm 크기. 생김새가 방아깨비와 비슷하지만 뒷다리가 짧아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장삼모메뚜기(Euparatettix insularis)9~13mm 크기. 회갈색이지만 체색 변이가 많고 뒷날개가 길게 발달했으며 성충으로 월동한다고 한다. 가시모메뚜기(Criotettix japonicas)16~21mm. 회갈색을 띄고 특이하게 더듬이가 노란색이다. 앞가슴등판에 뾰족한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다. 꼬마모메뚜기(Tetrix minor)6~9mm 크기. 황갈색이고 날개가 긴 장시형이 많으며 습기가 많은 풀밭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메뚜기기가 초식만 한다면 여기서 부터는 육식도 마다치 않는다. 여치(Gampsocleis sedakovi obscura)33~45mm 크기. 몸이 뚱뚱하고 날개가 짧다. ‘찌르르’하고 운다. 메뚜기와 달리 작은 곤충도 먹는다. 좀날개여치(Atlanticus brunneri)25~30mm 크기. 갈색이다. 뚱뚱하다. 수컷은 앞날개로 소리 내어 울지만 날아다니지는 못한다. 곤충과 식물을 먹는다.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25~30mm 크기. 곤충과 식물을 먹는다. 좀날개여치와 비슷하게 생겼다. 몸은 암갈색이고 배는 밝은 녹색이며 산지에 많이 보인다. 약충은 성충과 모습이 비슷하지만 앞날개가 발달하지 않았다. 잔날개여치(Chinuella bonneti)22~32mm 크기. 흑갈색이고 물가의 풀밭에서 살며 수컷은 낮에 ‘치릿치릿’ 운다. 약충의 몸은 검은색이고 등은 회갈색이다. 긴날개베짱이28~34mm 크기. 선명한 밝은 녹색이고 계곡 주변이나 물가에서 발견된다. 베짱이(Hexacentrus japonicas)25~35mm 크기. 녹색이고 위에서 볼 때 머리 쪽이 검다. ‘스이익~찍’ 하고 우는 소리가 베 짜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줄베짱이(Ducetia japonica)33~37mm 크기. 녹색이고 수컷은 등 부분 중앙에 갈색 줄무늬가 암컷은 흰색 줄무늬가 있어서 이름이 줄베짱이다. 몸 색이 갈색인 개체도 발견된다. 검은다리실베짱이(Phaneroptera nigroantennata)28~35mm 크기. 녹색이고 다리와 더듬이가 검은색이며 매우 길다. 약충은 성충과 비슷하지만 몸이 작고 날개가 덜 완성되었다.  실베짱이(Phaneroptera falcata)29~40mm 크기. 몸은 연한 녹색이고 날개 길이가 몸 길이보다 훨씬 길다. 큰실베짱이(Elimaea grandis)50~55mm 크기. 녹색이고 등 부분 중앙에 적갈색의 줄이 있다. 앞날개 전체에 그물 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더듬이는 흑갈색으로 매우 길다. 식물을 먹는다. 날베짱이(Sinochlora longifissa)45~55mm 크기. 녹색이고 앞날개를 비벼서 ‘찌지지지’하고 낮은 소리로 운다. 곤충과 식물을 먹는다. 매부리(Ruspolia lineosa)35~55mm 크기. 곤충과 식물을 먹는다. 날개가 길다. 긴꼬리쌕새기(Conocephalus exemptus)25~52mm 크기. 작은 곤충과 식물을 먹는다. 녹색이고 등은 연한 갈색이다. 점박이쌕새기(Conocephalus maculatus)22~27mm 크기. 녹색형과 갈색형이 있다. 곤충과 식물을 먹는다. 쌕새기(Conocephalus chinensis)20~30mm 크기. 몸은 연한 녹색이고 날개가 길다. 작은 곤충과 식물을 먹는다. 왕귀뚜라미(Teleogryllus emma)26~40mm 크기. 흑갈색을 띈다. 작은 곤충과 식물을 먹는다. 알락방울벌레(Dianemobius nigrofasciatus)6~8mm 크기. 작고 얼룩덜룩한 색상의 띄고 있다. 먹종다리(Trigonidium japonicum)5~7mm 크기. 몸은 검은색이고 다리는 연한 갈색이다. 귀뚜라미류에 속하지만 발음기가 없어 울지 못한다고 한다. 풀종다리(Svistella bifasciata)6~8mm 크기. 연한 회색이고 나뭇가지를 잘 기어 다닌다고 한다. 긴꼬리(Oecanthus longicauda):  11~20mm 크기. 연한 연두색이고 길쭉하다. 메뚜기의 크기는 더듬이를 뺀 머리 끝에서 날개와 생식관을 뺀 꼬리 끝까지를 잰다.

 위에 나열한 메뚜기들은 잠자리와 달리 물과 큰 연관이 있지 않다. 육지에서 한 평생을 살아가며 간혹 물에 떠내려 오는 메뚜기를 보았다면 이는 고의적인 것이 아니라 발을 잘못 집어 물에 빠진 것이다.  

 메뚜기 훅을 산천어가 잘 먹어주는 이유는 우리가 훅을 잘 만들어서라기 보다는 자연에는 너무도 다양한 모양과 색상의 메뚜기나 귀뚜라미가 있기 때문에 대충 만들어도 이중 어느 한 종과 비슷해 보이기 때문이 아닐까?  

 몸이 마디로 되어 있고 다리의 마디 마다 관절이 있는 무척추돌물(Invertebrate)을 절지동물(Arthropod)이라고 하는데 곤충류가 90프로 이상을 차지하고 그 외에도 거미류, 갑각류, 다지류등이 있다. 곤충류는 다리가 3쌍이고 거미류는 다리가 4쌍이서 구분된다. 5억 3천년 전에 살았던 삼엽충도 절지동물로 분류 된다. 15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 작게는 1미리미터에서 최대 72센티미터까지 다양한 종이 발견된다. 어렸을 때 논에서 비슷하게 생긴 작은 생물을 본 적이 있는데 긴꼬리투구새우(Triops longicaudatus, Longtail tadpole shrimp)라고 한다. 우리나라에 한 종이 있고 세계적으로 15종이 있다고 한다. 성체는 물이 없이는 곧 죽지만 알은 건조한 상태에서 수 년을 견디다가 조건이 맞으면 부화한다고 한다. -2017.12.23 Shin Ho Ch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