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날이 밝아오는 새벽에 깊은 산속 계곡을 홀로 걸어 올라 간다. 점점 사람들의 인기척도 사라지고 가끔 보이던 사람들의 흔적 마저도 완전히 사라져 갈때 쯤 작은 두려움을 마주한다.  커다란 공간 속에 홀로 서 있는 나를 발견한다. 숲 속에서는 내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너무 작아 몸을 굽혀 유심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잘 발견 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은 마법과도 같은 초능력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숲속의 요정은 상상이 아닌 실제로 존재 한다. 단, 숲 속의 동화는 평화롭지 않다. 먹고 먹히는 수겁의 먹이사슬 속에서 생존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 그 속에서 살아남은 생명들은 숲속의 요정처럼 반짝이는 순간이 있다.  맑고 찬 공기를 마시고 차가운 계곡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내 안을 향하던 모든 감각은 이제 모두 밖을 향하고 있다. 저 앞에 있는 어두운 나무 그림자에 신경이 쓰이고 발 밑을 빠르게 지나가는 바위틈에도 신경이 쓰인다. 내 눈과 귀는 더욱 민감해지고 작은 움직임과 소리에도 신경이 간다.  모든 생명은 자신만의 길이 있다. 같은 길은 없다. 다른이가 걷고 있는 길이 내가 걸었던 길이라고 착각하고 집착하는 사람을 우리는 흔히 "꼰대"라고 한다. 다른이에 대한 존중이 빠진 자신의 권위를 위해 도구 삼으려는 행위. 이 또한 나만의 길 위에 놓여진 장애물이라면 과감히 뛰어넘자.  길, 우리는 항상 길 위에 있다. -2022.7.17 Shin Ho Chul   총칭 찐따오씨아(金刀峡)

산천어와 연어

송어, 바다로 나간 산천어

 가족들이 아직 깊은 잠에 빠져 있는 새벽 시간. 산천어 구경을 하기 위해 아버지와 조금 일찍 일어나 따뜻한 커피로 몸을 녹이면서 이날의 계획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창 밖으로 해가 뜬다.

 계곡으로 이동 하는 길에 잠깐 새벽 항구에 들렀는데 뜻밖에도 방금 들어온 배에서 내린 70센티미터 정도의 연어(Oncorhynchus keta, Chum Salmon) 8마리를 볼 수 있었다. 이날 오전 낚시를 철수하며 들른 강의 하류에서 똑같은 크기의 연어 20마리 정도가 본격적으로 상류로 오르기 전에 모여서 유유히 헤엄 치고 있는 것을 보았는데 그 모습이 꼭 커다란 산천어와 같이 여유 있고 멋 들어 진다. 산천어가 송어와 같은 종인 것은 나로써는 조금 의외이다. 내가 보기 산천어는 덩치만 달랐지 연어와 훨씬 많이 닮았다. 우리의 강으로 회귀하는 연어는 9~11월이 산란기이다. 10.11~11.30를 금어기로 정해 두었는데 상황에 따라 조금 더 연장되기도 한다.

 오전 8시 계곡에서 옆으로 몸을 뒤집으며 14번 로얄울프페러슈트(Royal Wulff Parachute#14) 훅을 물고 올라온 전장 24센티미터의 산천어. 이곳 계곡에서 처음 잡아본 산천어이다. 주둥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미루어 수컷 같다. 너무 이른 새벽 보다는 오히려 해가 뜨고 기온이 조금 올라가기 시작하는 오전 8시쯤에 산천어들이 훅을 좀더 과감하게 물어 주는 듯 하다. 다른 계곡과 같이 작은 지류에서 2~3마리의 산천어가 한 소에 모여 활동하는 것이 관찰 되었다.

 이야기가 나온 김에 연어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면 연어는 크게 태평양 연어(왕연어, 스틸헤드, 홍연어, 은연어, 백연어, 곱사연어, 시마연어등)와 대서양 연어(아틀란틱 연어, 브라운 송어등)로 나뉜다고 되어 있다.

태평양 연어(Genus Oncorhynchus, Pacific Salmon Species)
1. 왕연어(Oncorhynchus tshawytscha, King Salmon)혹은 치누크연어(Chinook Salmon)라고 불리며 최대 150센티미터, 60킬로그램까지 성장한다고 한다. 전 세계 연어 중 가장 크고 맛과 품질도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간혹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거대한 붉은 색의 왕연어는 번식을 위해 민물로 올라온 개체(Spawn phase adult)이고 바다에서 잡히는 개체(Ocean phase adult)는 은빛이다.

2. 스틸헤드(Steelhead Salmon)는 덩치로 치누크연어다음인데 사실 송어에 속한다. 송어와 연어는 모두 연어목 연어과에 속하지만 송어는 연어와 다르게 번식 후에도 살아 남는다. 스틸해드의 육봉형이 무지개송어(Rainbow Trout)이다.
기회가 된다면 한국의 자연에 있는 무지개송어의 생태를 좀 더 자세하게 연구해 보고 싶다. 산란기에 강으로 오르는 스틸헤드는 무지게 송어와 비슷하게 몸 옆으로 붉은 기운이 강하게 돈다.

3. 홍연어(Oncorhynchus nerka, Sockeye Salmon)는 레드셀먼으로도 불리며 맛과 품질이 왕연어 다음 이라고 한다. 갑각류를 주로 먹기 때문에 살도 굉장히 붉다고 한다. 대부분 바다로 내려 가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송어와 마찬가지로 민물에 남아 자라는 육봉형이 있다고 한다. 일본 북해도로 회유하는 연어중의 하나이다. 바다에서는 다른 연어들과 같이 은색이지만 민물로 산란하러 올라올 때는 단풍잎처럼 몸 전체가 붉은 색으로 변한다.

4. 은연어(Oncorhynchus kisutch, Silver Salmon)는 코호새먼(Coho Salmon)으로 불린다. 홍연어 다음으로 선호하는 연어라고 한다. 약 4.5kg까지 자라고 등과 꼬리지느러미의 위쪽에 작은 점이 있어 쉽게 구분 되며, 바다로 내려가기 전 약 1년 동안 민물에 머무는데 약 3년이면 성숙하며 육봉형의 경우 민물에서 전 생애를 보낸다고 되어 있다.

5. 백연어(Oncorhynchus keta, Chum Salmon)는 짧은 시기에 집단으로 회귀하는 연어이다. 우리 나라의 동해로 흐르는 강으로 회귀하는 연어는 이 연어가 대부분이다. 우리 나라로 회귀하는 연어는 1913년 일본인들에 의해 최초로 함경남도 고원에서 연어 부화장이 생긴 후 인위적으로 관리가 시작되었고 본격적인 부화방류 사업은 1957년 경남 밀양과 경북의 강구 오십천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1970년부터 1990까지 여러 차례 연어 발안란이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어 각 하천에 이식 되었다고 한다. 연어가 회귀할 때 연어 알을 먹기 위해 다른 물고기들이 같이 올라오는데 연어의 알을 먹기 위함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연어 시즌에 에그(egg) 훅을 가지고서 다른 어종을 노려보는 것은 어떨까? 산란기에 강으로 오르는 수컷 연어는 수직을 붉은 무늬가 생긴다.

6. 곱사연어(Oncorhynchus gorbuscha, Humpback Salmon)는 지구상에 연어 중 가장 많은 개체가 있다고 한다. 핑크셀먼(Pink Salmon)이라고도 불리며 크기가 작은 연어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봄에 한시적으로 동해로 들어 오는데 이때는 산란을 위해 하천으로 회유하지는 않는다. 고성 앞바다에서 봄에 한시적으로 토종 송어(혹은 시마연어)와 같이 잡히는데 구분이 쉽지 않을 정도로 비슷하게 생겼다. 곱사연어는 살색이 토종송어보다 조금 더 연하고 주황색에 가깝다고 하는데 현지 사람들은 붉은 빛의 살을 가진 토종송어를 참송어라고 하며 맛으로 높이사고 곱사연어는 개송어라고 하여 맛 없음을 노골적으로 표현한다.

7. 시마연어(Oncorhynchus masou, Cherry Salmon)는 러시아 시마 지방에서 많이 잡혀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학명이 같아 국내의 토종 송어(육봉형은 산천어)와 비슷하거나 같은 종인 듯 한데 그 생태로 미루어 보면 의문 점이 많아 더욱 많은 공부가 필요해 보인다. 12월 초에서 5월 사이에 고성 앞바다에서 잡히는 송어 회를 먹어본 적이 있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연어 회와 전체적인 맛은 비슷했으나 훨씬 담백했고 색은 투명한 빨간색 이였다. 경험에 의하면 번식을 하러 올라오는 토종송어는 간혹 가을 오십천 중류에서 관찰 할 수 있었다. 산란을 하러 올라오는 붉은 빛의 큼직한 수컷 송어로 보이는 개체를 망원경으로 관찰한 적이 있다. 기회가 된다면 예전의 그 장소에 좀 더 오래 머물며 송어의 생태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 싶다. 수량이 많지 않고 덩치에 비해 굉장히 조심스러워서 관찰이 쉽지 않았다. 송어는 통상 3년이면 성숙한다고 하며 우리나라는 여름철 큰 비가 온 뒤에 일부 하천에서 많은 수의 송어가 계곡 상류로 올라가는 듯 하며 대략적인 시점은 8월에서 10월 사이인 듯 하다. 알에서 부화 후 1~2년을 담수에서 살다가 스몰트(Smolt)화가 서서히 진행된 개체는 4~5월쯤에 바다로 내려 가며 동해안 연안에 머문다고 알려져 있다. 스몰트화는 외형적인 변화 외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그리고 그런 외형적인 변화의 의미는 무엇일까? 우리가 고성 앞바다에서 맛 본 송어가 혹시 우리나라 하천에 풀어준(혹은 자연 번식한) 산천어 치어가 바다로 간 것은 아닐까? 혹은 DMZ의 남천과 같이 우리가 잘 모르는 어느 강에선가 대량으로 번식 중인 송어 중 일부가 고성 앞바다에서 잡힌 것은 아닐까? 충분한 운이 따른다면 언젠가는 송어와 산천어가 우리나라의 하천에서 산란하는 모습을 보게 될지도 모르겠다.

대서양 연어(Genus Salmo, Atlantic salmon)
1. 대서양연어(Salmo Salar, Atlantic Salmon)는 자연산은 보호종으로 어획이 금지되어 있고 전부 양식이다. 우리가 수입해서 먹는 생 연어의 대부분이 이 연어의 노르웨이 양식 산이라고 한다. 바다에서 잡히는 연어들 사진을 찾아보면 구분이 쉽지 않은데 대서양연어는 머리에 검은 점(Black spot)이 뿌려져 있다.

2. 브라운 송어(Salmo trutta, Brown Trout). 1미터까지 자라는 송어로 어떤 이유에서인지 모르지만 우리나라 소양강의 일부 구역에서 잡히는 듯 한다(양식장 탈출).

 연어는 빨강, 보라, 분홍색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연어 관찰이나 낚시를 할 때는 이러한 색의 옷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모순적이게도 연어 훅은 해당 색으로 많이 만든다. 다른 의미에서 연어를 자극하기 위함일까?

 어류의 코는 좌우에 각 두 개씩 있으나 양쪽에 각 한 개씩인 어류도 있다고 한다. 어류의 코는 콧구멍이 구강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표피가 함입하여 생긴 주머니 모양의 비강으로 되어 있으며 입 언저리와 머리 부분에 후각세포가 분포된 종류도 있다. 연어는 사람의 손을 씻은 물을 몇 백리서도 감지하고 모천 회귀를 기피하므로 알래스카 주(State of Alaska)의 하천 관리자들은 물속에 들어갈 때는 꼭 장화를 신는다고 하는데 그러면 장화에서는 냄새가 나지 않을까? 산천어 플라이피싱에서 계곡 상류에서 진입하여 하류로 진행 할 때 성과가 어땠었나? 사실 나의 경우 본능적으로 항상 하류에서 상류로 가려고 노력했고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낚시를 진행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여러 가지 원인에서 상류에서 하류로 진행할 때는 물속에 최대한 들어가지 않아야 할 것 같다. - 2014.09.27 신호철  

Cherry-salmon
산천어(Cherry sal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