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날이 밝아오는 새벽에 깊은 산속 계곡을 홀로 걸어 올라 간다. 점점 사람들의 인기척도 사라지고 가끔 보이던 사람들의 흔적 마저도 완전히 사라져 갈때 쯤 작은 두려움을 마주한다.  커다란 공간 속에 홀로 서 있는 나를 발견한다. 숲 속에서는 내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너무 작아 몸을 굽혀 유심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잘 발견 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은 마법과도 같은 초능력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숲속의 요정은 상상이 아닌 실제로 존재 한다. 단, 숲 속의 동화는 평화롭지 않다. 먹고 먹히는 수겁의 먹이사슬 속에서 생존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 그 속에서 살아남은 생명들은 숲속의 요정처럼 반짝이는 순간이 있다.  맑고 찬 공기를 마시고 차가운 계곡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내 안을 향하던 모든 감각은 이제 모두 밖을 향하고 있다. 저 앞에 있는 어두운 나무 그림자에 신경이 쓰이고 발 밑을 빠르게 지나가는 바위틈에도 신경이 쓰인다. 내 눈과 귀는 더욱 민감해지고 작은 움직임과 소리에도 신경이 간다.  모든 생명은 자신만의 길이 있다. 같은 길은 없다. 다른이가 걷고 있는 길이 내가 걸었던 길이라고 착각하고 집착하는 사람을 우리는 흔히 "꼰대"라고 한다. 다른이에 대한 존중이 빠진 자신의 권위를 위해 도구 삼으려는 행위. 이 또한 나만의 길 위에 놓여진 장애물이라면 과감히 뛰어넘자.  길, 우리는 항상 길 위에 있다. -2022.7.17 Shin Ho Chul   총칭 찐따오씨아(金刀峡)

Fly Fishing; Tying, Find, Casting, Retrieve, Hooking, Fighting, Landing, Release

플라이낚시(Fly Fishing)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미끼를 만들고(Tying), 먹이 활동하는 물고기를 찾고(Find), 훅을 원하는 위치에 캐스팅하고(Casting), 훅에 움직임을 주어 물고기를 유인하고(Retrieve), 물고기를 바늘에 걸고(Hooking), 물고기와 힘겨루기를 하고(Fighting), 손에 잡은(Landing) 물고기를 놓아주는(Release)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해 보았다.

1. 가짜 미끼 만들기(Tying)

붕어 찌낚시꾼은 떡밥과 지렁이를 사고 감성돔 찌낚시꾼은 크릴 새우와 갯지렁이에 밑밥을 사서 낚시 미끼로 쓴다. 루어낚시꾼은 루어를 사거나 아주 드물게 직접 만들어쓰기도 한다.

플라이낚시꾼은 수서곤충이나 작은 물고기를 모방한 가짜 미끼를 구매하거나 직접 만들어서 사용한다. 플라이낚시의 큰 매력 중에 하나는 내가 만든 미끼를 물고기가 물어줄 때이다. 낚시를 가지 않을 때도 다음번에는 어떤 훅을 만들어서 대상어종을 꼬드겨 볼까 하는 즐거운 고민을 한다.

2. 먹이 활동하는 물고기 찾기(Find)

붕어 찌낚시꾼은 흔히 "붕어 비린내가 난다"고 표현한다. 근처에 붕어 때가 들어왔음을 뜻한다. 보이지 않는 붕어를 물고기 비린내로 감지하는 것이다. 붕어는 수십 혹은 수백 마리가 때지어 다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말이 맞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쩌면 경험이 많은 낚시꾼은 장소만 보고도 해당 계절에 붕어가 먹이 활동을 하는 곳을 높은 확률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플라이낚시꾼들은 어떻게 물고기를 찾을까? 많은 실전 경험은 해당 시점에 대상어종이 어떤 곳에 높은 확률로 있을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잔잔한 물 표면을 보면서도 직감적으로 물속에서 먹이 활동하는 대상어종을 상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낚시와는 다르게 물 표면에서 우화하는 하루살이 같은 곤충을 공격하는 물고기를 찾는 습관이 있다.

3. 훅을 원하는 위치에 캐스팅하기(Casting)

모든 것들이 그렇지만 많은 연습이 필요한 것이 훅(미끼)을 원하는 위치에 던져 넣는 캐스팅 동작이다. 자연의 계곡이나 강에서 플라이낚시를 진행하려면 대부분 캐스팅하고자 하는 거리와 비슷하게 뒤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루어나 붕어 찌낚시 바다낚시 등의 다른 낚시에서는 뒤의 공간에 크게 간섭받지 않지만 플라이낚시는 뒤 공간이 트여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캐스팅의 난이도는 굉장히 높아지거나 불가능하게 된다.

바람의 영향도 다른 낚시에 비해서 민감하게 받는 편이다. 등 뒤나 옆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라면 그나마 다행이고 만약 정면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온다면 낚시가 거의 불가능할 수 있다. 훅이 달린 마지막 얇은 티펫을 예쁘게 펴서 살포시 수면 위에 안착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훅을 만들 때 캐스팅 할 때 훅이 빙글빙글 돌아서 티펫줄이 꼬이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어쩔 수 없을 때는 좀 더 굵은 티펫줄을 사용해서 이런 현상을 방지하는 것인데 그러면 자연스럽게 물고기의 경계심이 높아진다. 내가 페러슈트(Parashute) 훅을 선호하는 이유이다. 상대적으로 좀 더 얇은 티펫을 사용해도 줄 꼬임 현상이 적다. 

4. 훅에 움직임을 주어 물고기 유인하기(Retrieve)

루어와 비슷하게 플라이낚시에서 물속에 잠겨서 움직임을 주어야 하는 웻트 훅(Wet hook)을 운용할 때는 어느 정도 속도로 훅을 끌어줄지 그리고 어떤 끊김의 움직임을 주는지가 굉장히 중요해진다. 상황에 맞게 속도와 끊어짐 등의 박자를 맞추어야 한다.

수면에 뜨는 드라이 훅(Dry Hook)은 대부분 인위적인 움직임 없이 조용히 수면에 자연스럽게 띄우는 것이 중요하지만 때로 상황에 따라서 물고기가 접근했을 때 아주 약하게 떨림 정도의 움직임을 주는 것이 도움이 될 때가 있다.

5. 물고기를 바늘에 걸기(Hooking)

모든 낚시 과정에서 가장 흥분되는 순간이 아닐 수 없다.

물고기를 위해서도 그리고 나를 위해서도 가급적 미늘 없는(Barbless) 바늘 사용을 권장한다. 미늘이 없는 경우 유일한 단점은 어렵게 잡은 물고기를 손에 잡아보기전에 놓칠 수 있다는 것이고 장점은 바늘이 옷이나 살에 걸렸을 때 쉽게 뺄 수 있고 물고기에게도 상처를 좀 더 적게 준다는 것이다.

플라이낚시에는 물고기를 놓아주는 것이 기본이기에 꼭 손에 잡히지 않아도 크게 상관은 없다. 아쉬움이라면 사진 한 장 더 남길 수 있는 기회를 잃는 것 정도일 것이다.

6. 물고기와 힘겨루기(Fighting)

본격적으로 아드레날린(Adrenaline)이 솟구치는 구간이다. 만약 대상어가 수면 위로 몸을 날리는 바늘털기라도 하면 흥분의 극치를 경험할 수 있다. 여자친구가 남자친구에게 밧줄을 주며 하고 싶은 데로 하라고 하자 낚시꾼은 밧줄로 여자친구를 묶어놓고 낚시를 갔다는 우스갯소리가 생각난다. 낚시꾼에게 물고기와 힘겨루기 하는 모습은 꿈에서도 그리운 순간일 것이다.

몇 년 전 물이 불어난 산속 계류에서 큼직한 산천어를 걸고 물속 깊은 곳에서 한참을 반짝이며 바늘털이를 하고 힘껏 낚싯대를 세우자 차라리 물 밖으로 점프하며 바늘털이 하던 산천어의 모습은 꽤 오랫동안 잊지 못할 것이다.

7. 손에 잡기(Landing)

강하게 살아 숨쉬는 야생의 생명을 손에 올려 놓았을 때의 감정은 글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생명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는 앞의 모든 과정의 세심한 노력들이 보상받는 곳이다.

8. 놓아주기(Release)

플라이낚시는 잡은 물고기를 취하지 않고 놓아주는 것(Catch and Release)을 기본으로 한다. 요즘은 많은 낚시 장르에서 "Catch and Release"를 미덕(美德)으로 하고 있다.

잡은 물고기를 취하지 않고 바로 놓아주면 낚시라는 행위의 피로도가 굉장히 많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물고기를 보관하는 도구가 필요하지 않아 짐의 무게가 줄고 낚시 후에 물고기 손질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에너지와 열정을 낚시라는 행위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민물낚시도 그렇지만 바다낚시의 경우 비용(밑밥, 이동, 숙박 등)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가고 고급 자연산 해산물을 경험해 볼 수 있고 요리라는 또다른 즐거움(아빠가 바다낚시 간다고 하면 가족들이 은근히 신선한 해산물을 기대하는 것도 사실이다)이 있기 때문에 잡은 물고기를 모두 놓아주기에는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놓아줄 수 있다면 낚시라는 행위 자체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항상 배회할 수 밖에 없는 것이 낚시인의 숙명이기라도 한 걸까?

취미로 플라이낚시를 하면서 아름다운 자연을 가까이할 수 있었다. 잡고 놓아주기(Catch and Release)를 수없이 반복했지만 어렵게 노력해서 손에 잡힌 것을 순순히 내려놓는 것은 아직도 쉽지 않음을 느낀다. 그럴 거면 왜 굳이 어렵게 손에 잡으려고 노력했을까?

예전에 "가져본 사람이 진정으로 포기할 수 있다"라는 문구를 본 적이 있다. 가져보지 않고도 진정으로 포기할 수 있는 경지가 있다면 더욱 대단한 경지이겠지만 나는 이 말이 크게 틀리지 않다고 생각한다. 가져본 사람이 실제적으로 무엇을 포기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2024.4.1 Shin Ho Chul

Tarpon
타폰(Tarpon)

댓글